본문 바로가기

경희生치료/신장질환

신장질환 당뇨 영향 직접적으로 받는다

신장질환 당뇨 영향 직접적으로 받는다


당뇨병 환자에게서 단백뇨가 나오게 될 경우 이는 신장합병증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단백뇨가 나오는 단계는 당뇨병성 신장질환의 말기 전 단계라 할 수 있는 4단계에 해당되는데 당뇨병력이 12년 ~ 24년 정도가 됬을 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 때에는 고혈압을 동반할 가능성이 높을뿐만 아니라 신장이 이미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잃어가는 상태로 만일 더욱 심각한 상태의 경우 신장이식 또는 투석 외에 다른 조취를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신장은 당뇨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장기 가운데 하나인데 그 이유는 당뇨로 인하여 혈액 내에 포도당 수치가 올라갈 경우 혈관을 막을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신장의 경우 미세혈관이 밀집되어 있는 장기이기 때문에 타격이 더 크다 할 수 있습니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미세혈관이 밀집되어 있는 신장의 경우 고혈당에 더욱 취약합니다. 신장의 사구체는 혈액을 여과하여 노폐물을 걸래내는 역할을 하는데 소동맥에서 나온 모세혈관이 털뭉치와 같이 얽혀있는 기관을 말합니다. 당뇨로 인하여 끈적끈적해진 혈액으로 인하여 모세혈관이 막히거나 혈관벽이 딱딱해지게 되면서 신장의 기능을 잃게 되는데 실제 신장이식을 받는 환자를 살펴보면 4분의 1이 당뇨병 환자입니다. 그리고 실제 당뇨병합병증 가운데 신장합병증을 동반하는 당뇨병 환자의 비율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신장은 손상되었을 경우 회복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상태가 지속적으로 악화되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아 신장질환의 위험성이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만일 당뇨병을 오래 앓은 환자의 경우 6개월 마다 단백뇨 여부를 검사받아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장 기능 약 6% -> 신장 기능 약 30%

(eGFR : 사구체여과율 6.2 ccs/min) -> (eGFR : 사구체여과율 30 ccs/min)